상세 컨텐츠

본문 제목

와이어 프레임 스토리보드 / HTTP

공부 요점 정리

by ssw0428 2020. 5. 13. 22:34

본문

- 디자인 들어가기전 선(Wire)을 이용해 윤곽(Frame)을 잡는 것/ 정리하여 한눈에 표현해주는 툴
-  의사소통을 위해 관계자들과 레이아웃을 협의 하거나 서비스의 간략한 흐름을 공유 하기 위해 사용하며 UL,UX 설계에 집중되어있다.
 - 툴 : 손그림 , 파워포인트, 키노트, 스테치 , 일러스트, 포토샵 등

스토리보드(storyboard) - 개발의 설계도-구조도/ 작업의 지침서

- 구성의  전체적인 흐름과 더불어 텍스트와 모든 구성들이 어떻게 조합되어 보여지게 될것인지의 세부적이고 구체적인 사항들이 모두 담기게 됩니다.
- 스토리보드는 정확하고 상세하여야 하며, 제대로 된 스토리 보드는 제대로된 웹사이트를 개발하기 위한 기본
- 툴 : 파워포인트, 키노트 , 스케치, Axure 등

 

 

HTTP란 ? 

HTTP (HyperText Transfer Protocol)

 - 텍스트 기반의 통신 규약 인터넷에서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는 프로토콜 입니다. 이 규약 덕분에 모든 프로그램이 이규약에 맞춰 개발해서 서로 정보를 교환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.

 

HTTP 작동

  - 사용자가 브라우저를 통해 어떤 서비스를 URL 을 통해서 이용하거나 다른 것을 통해서 요청하면 서버에서는 해당 요청사항에 맞는 결과를 찾아서 사용자에게 응답 하는 형태로 작동합니다.

  • 요청 (request) : 사용자가 서버에 연락하는것 
  • 응답: (response) : 서버가 요청에 대한 답변을 사용자에게 보내는 것

요청의 종류 (request method)

- 자료를 요청할 때

  • get :  요청
  • post : 생성
  • put : 수정
  • delete : 삭제

응답 코드

  • 1XX (조건부 응답) : 요청을 받았으며 작업을 계속 합니다.
  • 2XX  (성공)  : 사용자가 요청한 동작을 수신하여 이해했고 승낙했으며, 성공적으로 처리했습니다.
  • 3XX (리다이엑션 완료) : 사용자는 요청을 마치기 위해 추가 동작을 해야 합니다.
  • 4XX (요청 오류) : 사용자에게 오류가 있습니다.
  • 5XX (서버 오류) : 서버가 유요한 요청을 명백하게 수행하지 못했습니다.

관련글 더보기